def dfs(computers, visited, start, n):
    visited[start] = 1
    for node in range(n):
        if(computers[start][node]==1 and visited[node]==0):
            dfs(computers, visited, node, n)

def solution(n, computers):
    answer = 0
    visited = [0] * n
    for start in range(n):
        if visited[start] == 0:
            dfs(computers, visited, start, n)
            answer+=1
    
    return answer
반응형
n = int(input())
array = []
for i in range(n):
  array.append(int(input()))
array.sort(reverse=True)

print(' '.join(str(x) for x in array))
반응형
array = [5,7,9,0,3,1,6,2,4,8]
def quick(array):
  if(len(array) <= 1):
    return array

  pivot = array[0]
  tail = array[1:]

  lef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 분할된 왼쪽 부분
  righ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 분할된 오른쪽 부분
  #print(pivot)
  #print(left_side)
  #print(right_side)
  # 분할 이후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에서 각각 정렬을 수행하고, 전체 리스트를 반환
  return quick(left_side) + [pivot] + quick(right_side)

print(quick(array))
반응형
list1 = [1,1,1,1]
list2 = [1,1,1,1]
result = [x+y for x,y in zip(list1, list2)]

#result = [2,2,2,2]
반응형

문자 입력 받기

text1 = input()

 

숫자 입력 받기

num = int(input())

 

리스트 입력 받기

list1 = list(input().split())

 

2개 숫자 입력받기

a, b = map(int, input('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 ').split())

 

반응형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7

 

코딩테스트 연습 - 문자열 압축

데이터 처리 전문가가 되고 싶은 어피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문자

programmers.co.kr

def solution(s):
    length = []
    result = ""

    if len(s) == 1:
        return 1
    for cut in range(1, len(s) // 2 + 1):
        count = 1
        tempStr = s[:cut]

        for i in range(cut,len(s), cut):
            if s[i:i+cut] == tempStr:
                count += 1
            else:
                if count == 1:
                    count = ""
                result += str(count) + tempStr
                tempStr = s[i:i+cut]
                count = 1
        if count == 1:
            count = ""
        result += str(count) + tempStr
        length.append(len(result))
        result = ""
    return min(length)

 

2020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문제에 올라온 문제이다.

문자열을 처음부터 N개까지 압축하고, 압축한 문자열 중 가장 짧은 문자열의 길이를 return하는 문제이다.

 

알고리즘

1. 만약 input된 문자열의 길이가 1이라면 1을 return한다.

2. 자를 길이를 1부터 (문자열 길이 나누기 2한 몫) + 1까지 for문을 돌린다.(절반 이상까지 자르는 것은 무의미하다.)

3. count = 1로 초기화하고, 임시저장 str을 처음부터 자를 길이까지 잘라 저장한다.

4. for i in range(cut,len(s), cut) => range의 3번째 항에 cut을 넣으면 자를 단위 만큼 건너뛰며 for문을 돈다.

5. tempStr에 저장한 이후의 문자열이 cut 단위로 자른 문자 s[i:i+cut] 와 같다면 count에 1을 더해준다.

6. 같지 않고 count == 1이라면 count ="" 로 셋팅하고, count !=1이라면 result = result + str(count) + tempStr을 해준다.

7. 다시 tempStr에 s[i:i+cut] 을 저장하고( s[i:i+cut]이 이전 tempStr과 달랐기 때문에 현재 tempStr로 셋팅), count =1로 초기화 한다.

8. Length 중 최소값을 return한다.

반응형

이진 트리 : 이진 트리의 순회는 재귀 호출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위, 중위, 후위 순회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순회란 모든 원소를 빠트리거나 중복하지 않고 처리하는 연산을 의미한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def __str__(self):
        return str(self.data)

class Tree:
    def __init__(self):
        self.root = None

    def preorderTraversal(self, node):
        print(node, end='')
        if not node.left  == None : self.preorderTraversal(node.left)
        if not node.right == None : self.preorderTraversal(node.right)

    def inorderTraversal(self, node):
        if not node.left  == None : self.inorderTraversal(node.left)
        print(node, end='')
        if not node.right == None : self.inorderTraversal(node.right)

    def postorderTraversal(self, node):
        if not node.left  == None : self.postorderTraversal(node.left)
        if not node.right == None : self.postorderTraversal(node.right)
        print(node, end='')

    def makeRoot(self, node, left_node, right_node):
        if self.root == None:
            self.root = node
        node.left = left_node
        node.right = right_node

if __name__ == "__main__":
    node = []
    node.append(Node('-'))
    node.append(Node('*'))
    node.append(Node('/'))
    node.append(Node('A'))
    node.append(Node('B'))
    node.append(Node('C'))
    node.append(Node('D'))

    m_tree = Tree()
    for i in range(int(len(node)/2)):
        m_tree.makeRoot(node[i],node[i*2+1],node[i*2+2])

    print(       '전위 순회 : ', end='') ; m_tree.preorderTraversal(m_tree.root)
    print('\n' + '중위 순회 : ', end='') ; m_tree.inorderTraversal(m_tree.root)
    print('\n' + '후위 순회 : ', end='') ; m_tree.postorderTraversal(m_tree.root)

전위 순회

전위 순회는 DLR 순서로 순회한다.

  1. D : 현재 노드를 출력한다
  2. L : 현재 노드 왼쪽 서브트리로 이동한다
  3. R : 현재 노드 오른쪽 서브트리로 이동한다
def preorderTraversal(self, node):
    print(node, end='')
    if not node.left  == None : self.preorderTraversal(node.left)
    if not node.right == None : self.preorderTraversal(node.right)

해당 노드를 출력하고 왼쪽으로 이동한다. 왼쪽 노드가 존재하면 계속해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출력하고 왼쪽이 끝나는 노드부터 오른쪽 노드를 순회한다.

 

중위 순회

중위 순회는 LDR 순서로 순회한다. 왼쪽 순회가 우선이고 출력이 중앙에 위치한다.

def inorderTraversal(self, node):
    if not node.left  == None : self.inorderTraversal(node.left)
    print(node, end='')
    if not node.right == None : self.inorderTraversal(node.right)

후위 순회

후위 순회는 LRD로 순회한다. 출력이 마지막에 위치한다.

def postorderTraversal(self, node):
    if not node.left  == None : self.postorderTraversal(node.left)
    if not node.right == None : self.postorderTraversal(node.right)
    print(node, end='')

 

예시

프로그래머스 길 찾기 게임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92

 

코딩테스트 연습 - 길 찾기 게임

[[5,3],[11,5],[13,3],[3,5],[6,1],[1,3],[8,6],[7,2],[2,2]] [[7,4,6,9,1,8,5,2,3],[9,6,5,8,1,4,3,2,7]]

programmers.co.kr

class Node:
    def __init__(self, x, key):
        self.x = x
        self.key = key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Tree: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ne
        self.pre_result = list()
        self.post_result = list()

    def insert(self, x, key):
        current_node = self.head
        if self.head is None:
            self.head = Node(x, key)
        else:
            while True:
                if current_node.x > x:
                    if current_node.left:
                        current_node = current_node.left
                    else:
                        current_node.left = Node(x, key)
                        break
                else:
                    if current_node.right:
                        current_node = current_node.right
                    else:
                        current_node.right = Node(x, key)
                        break

    def preorder(self):
        def _preorder(root):
            if root is None:
                pass
            else:
                self.pre_result.append(root.key)
                _preorder(root.left)
                _preorder(root.right)
        _preorder(self.head)

    def postorder(self):
        def _postorder(root):
            if root is None:
                pass
            else:
                _postorder(root.left)
                _postorder(root.right)
                self.post_result.append(root.key)
        _postorder(self.head)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6)


def solution(nodeinfo):
    tmp = nodeinfo
    tmp = sorted(tmp, key=lambda x: x[1], reverse=True)
    T = Tree()
    for i in range(len(nodeinfo)):
        T.insert(tmp[i][0], nodeinfo.index(tmp[i]) + 1)
    T.preorder()
    T.postorder()
    answer = [T.pre_result, T.post_result]

    return answer

메인 함수는 solution(nodeinfo)이다. (nodeinfo.index(tmp[i])+1 에서 1을 더하는 이유는 문제에서 노드가 1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알고리즘

1. nodeinfo를 y의 값을 기준으로 sorting해서 tmp에 담아준다.

2. T라는 객체를 만든다.

3. sorting한 tmp에서 0부터 len(nodeinfo)까지 T.insert를 반복한다.

4. T.preorder()를 한다.(전위순회하면서 pre_result에 key를 저장)

5. T.postorder()를 한다.(후위순회하면서 post_result에 key를 저장)

6. answer에 pre_result와 post_result를 저장하고 return한다.

 

※T.insert()에 대한 설명

가장 처음에 insert()할 때, self.head = None이다. 따라서 self.head = Node(x, key)를 수행한다.

나중에 insert()할 때, While문으로 들어간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x, key):
        self.x = x
        self.key = key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Tree:
		....
        def insert(self, x, key):
        	current_node = self.head
        	if self.head is None:
        	self.head = Node(x, key)
            
            ....

            while True:
                if current_node.x > x:
                    if current_node.left:
                        current_node = current_node.left
                    else:
                        current_node.left = Node(x, key)
                        break
                else:
                    if current_node.right:
                        current_node = current_node.right
                    else:
                        current_node.right = Node(x, key)
                        break

while문에서

현재의 node의 x값이 insert할 x값보다 클 때, 현재 node의 left에 무엇인가 담겨있다면  현재의 node에 현재의 node 왼쪽값을 담는다.(왼쪽 아래로 비어있을 때까지 이동) // 현재 node의 left가 비어있다면 insert할 Node(x, key)를 넣어주고 break한다.

현재의 node의 x값이 insert할 x값보다 작을 때, 현재 node의 오른쪽에 무엇인가 담겨있다면 현재의 node에 현재의 node 오른쪽값을 담는다.(오른쪽 아래로 비어있을 때까지 이동) // 현재 node의 오른쪽이 비어있다면 insert할 Node(x,key)를 넣어주고 break한다.

반응형
my_list = ['a', 'b', 'c', 'd', 'e', 'f', 'g', 'h', 'i', 'j', 'k']
# 한 리스트에 몇개씩 담을지 결정
n = 3
result = [my_list[i * n:(i + 1) * n] for i in range((len(my_list) + n - 1) // n )] 
print(result) 

결과

[['a', 'b', 'c'], ['d', 'e', 'f'], ['g', 'h', 'i'], ['j', 'k']]
반응형

number = 변환할 숫자

base = N진수

 

NOTATION = '0123456789ABCDEF'
def numeral_system(number, base):
    q, r = divmod(number, base)
    n = NOTATION[r]
    return numeral_system(q, base) + n if q else n

 

결과

 

number = 8일 때,

numeral_system(number,2) = 1000

반응형

캐시[Cache]란?

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나타나는 지역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사용되었던 내용을 특별히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고 관리함으로써 이 내용을 다시 필요로할 때 보다 빠르게 참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쉽게 풀어서 설명하면 사용되었던 데이터는 다시 사용되어 질 가능성이 높다는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다시 사용될 확률이 높은 아이들을 좀 더 빠르게 접근 가능한 저장소를 사용한다는 개념이다.

 

캐시 히트[Cache Hit]란?

CPU가 참조하고자 하는 메모리가 캐시에 존재하고 있을 경우 Cache Hit라고 한다.

 

캐시 미스[Cache Miss]란?

CPU가 참조하고자 하는 메모리가 캐시에 존재하지 않을 때 Cache Miss라고 한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0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캐시

3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50 3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21 2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60 5 [Jeju, Pangyo, S

programmers.co.kr

문제

지도개발팀에서 근무하는 제이지는 지도에서 도시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도시와 관련된 맛집 게시물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보여주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테스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어피치는 서비스를 오픈하기 전 각 로직에 대한 성능 측정을 수행하였는데, 제이지가 작성한 부분 중 데이터베이스에서 게시물을 가져오는 부분의 실행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피치는 제이지에게 해당 로직을 개선하라고 닦달하기 시작하였고, 제이지는 DB 캐시를 적용하여 성능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캐시 크기를 얼마로 해야 효율적인지 몰라 난감한 상황이다.

어피치에게 시달리는 제이지를 도와, DB 캐시를 적용할 때 캐시 크기에 따른 실행시간 측정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형식

  • 캐시 크기(cacheSize)와 도시이름 배열(cities)을 입력받는다.
  • cacheSize는 정수이며, 범위는 0 ≦ cacheSize ≦ 30 이다.
  • cities는 도시 이름으로 이뤄진 문자열 배열로, 최대 도시 수는 100,000개이다.
  • 각 도시 이름은 공백, 숫자, 특수문자 등이 없는 영문자로 구성되며,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도시 이름은 최대 20자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형식

  • 입력된 도시이름 배열을 순서대로 처리할 때, 총 실행시간을 출력한다.

조건

  • 캐시 교체 알고리즘은 LRU(Least Recently Used)를 사용한다.
  • cache hit일 경우 실행시간은 1이다.
  • cache miss일 경우 실행시간은 5이다.

입출력 예제

캐시크기(cacheSize) 도시이름(cities) 실행시간
3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50
3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21
2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60
5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52
2 ['Jeju', 'Pangyo', 'NewYork', 'newyork'] 16
0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25

 

def solution(cacheSize, cities):
    answer = 0
    cache = []
    if cacheSize == 0:
        return len(cities) * 5

    for city in cities:
        if city.lower() in cache: # cache에 있을 때
            answer+=1
            cache.remove(city.lower())
            cache.append(city.lower())
        else: # cache에 없을 때
            answer+=5
            if len(cache) == cacheSize:
                cache.pop(0)
                cache.append(city.lower())
            else:
                cache.append(city.lower())
    return answer

 

 

LRU 알고리즘 (Least Recently Used Algorithm)

 

 

반응형

+ Recent posts